세종시 건설에 따른 공주시의 피해가 점점 현실화,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대는 지난 12일 송용호 총장의 공식입장을 담은 공문을 공주교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공주교대는 충남대의 이러한 제의를 전체교수에게 공지하고, 교수와 직원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거쳐 통합추진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대학의 통합을 위한 핵심관건인 대학본부는 모두 세종시 캠퍼스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세종시에 캠퍼스를 두게 될 경우 캠퍼스 부지를 세종시로부터 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우수 총장은 지난 1일 공주교대 회의실에서 열린 공주시의원 등과 가진 간담회에서 “건설청장으로부터 ‘세종시에 캠퍼스를 두게 될 경우 대학 부지를 주겠다’는 말을 들었다”며 “어차피 대학의 구조조정은 필연적인데 나중에 억지로 하느니 보다는 5,000억원에 해당하는 부지를 제공받으면서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전우수 총장은 “세종시에 캠퍼스를 입지하는 조건의 통합이라면 공주대이던, 충남대이던 따지지 않고 통합 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충남대와의 통합과정이 공주대, 충남대, 공주교대 간의 통합보다 실현가능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내년 7월 1일 세종시가 별도의 교육감을 선출하게 됨에 따라 학생들의 임용고시 가산점 획득을 위해서도 세종시에 캠퍼스를 입지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그동안 세종시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잠자고 있던 공주시민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정치권을 믿고, 침묵하던 사이에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는 것.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정치권을 성토하고 있다.

공주대에서도 비상이 걸렸다. 이에 공주대학교에서는 13일 긴급간담회를 갖고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공주, 올 것이 오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것이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점이다. 앞으로 모든 부문에서 탈 공주(脫公州) 현상은 점점 심해질 것으로 보여 ‘공주시(公州市)’가 ‘공주시’(空州市)로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도 정치권은 이런 심각한 문제들에 대해 침묵을 하고 있다. 재선된 사람들이어서 더욱 그렇다.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가 결코 없기 때문이다.

당시 정치권은 자신과 당리당략을 위해 선량한 공주시민들을 이용해 공주시의 막대한 피해를 담보로 한 세종시 원안을 사수했다. 그리고 그 담보물이 하나 둘 경매로 진행되고 있다.

특급뉴스의 그동안의 경고가 ‘소설’이 아니었음이 증명되고 있다. 공주시민,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관련기사 있음)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