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와 상생발전방안모색을 위한 공주시 발전협의회 심포지엄이 22일 오전 10시 공주문예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렸다.
‘세종시 건설에 따른 공주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는 심대평 국회의원, 이준원 공주시장, 고광철 공주시의회 의장, 윤석우 충남도의원을 비롯한 많은 공주시 공무원과 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고광철 공주시의회 의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세종시 특별법 통과로 인해 장기와 의당, 반포의 인구 6,000여명이 줄고, 남양분유 공주공장, 산림박물관, 공주영상대학 등 굵직굵직한 기관이나 기업들이 세종시에 편입돼 이대로 가다가는 공주시의 공동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미 세종시 첫 마을 아파트에 공주시민 500~600여명이 분양을 받아 1,500명에서 2,000여명의 공주시민이 세종시로 빠져 나갈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주시는 세종시와 통합을 해야만 살 수 있으며, 14대 선거부터 공주시와 통합하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심대평 의원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세종시 설치법에 공주시 등 편입지역을 위한 법조항을 둔만큼 공주시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준원 시장과 심대평의원은 이날 자신들의 인사말을 마치고 바로 퇴장했다.
이어진 ‘세종시 건설에 따른 공주의 문제점’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충남발전연구원 송두범 연구위원은 ▲인구감소 ▲세수감소 ▲지역개발부하량 감소 ▲행정구역면적의 감소 등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그리고 강현수 중부대학교 교수가 바통을 이어받아 ‘세종시 건설에 따른 공주의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시작했다.
그러나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공주시의회 이창선 의원이 일어서 심포지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발언을 시작했다. 이 의원은 이자리에서 “공주시는 인구 18만으로 아산시와 함께 시로 출발했는데 아산은 30만이 됐고, 공주시는 12만이 됐다”며 “세종시로 인구 6,000여명이 빠져나가고, 교부세가 500억 이상 줄어들게 되는 등 보통 큰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차세대 CEO’를 운운하는 등 심포지엄을 통해 특정인의 선거운동을 해주고 있는 느낌이 든다”며 “누구 한사람을 위해서 하지 말고, 공주를 위한 심포지엄을 하라”고 밝혔다.
이창선 의원의 이러한 발언으로 인해 이날 심포지엄은 잠시 중단됐으며, 발언 후 이창선 의원은 퇴장했다.
강현수 교수는 이날 이어진 주제발표를 통해 “세종시 설치법의 인접지역관련 내용은 추상적인 선언만 있을 뿐,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상생발전 방안이나, 불이익 방지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의무규정이하기 보다 임의 권고규정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또한 “따라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상생발전이나 불이익 방지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정만 공주대 교수는 이날 토론에서 “세종시 건설로 인해 공주시가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된 만큼 정부에 지원 대책을 강력히 요구해야 하며, 민관협력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원석 강북발전협의회장은 이날 “공주지역의 국회의원, 도의원 시의원들은 그동안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며 “세종시로 인해 도청환청의 기회도 빼앗기고, 연기군에 잔칫상만 차려줬지 공주시는 챙긴 것이 하나도 없다”고 역설했다.
또한 “상황별 매뉴얼을 작성해 대응하고 최악의 경우에 공주시가 살아남을 수 있는 특성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