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평택시의회의 공주대-재활복지대 통합에 따른 평택캠퍼스 유치 동의서. |
| ⓒ 특급뉴스 이건용 |
공주대학교(총장 김재현)가 평택의 한국재활복지대와의 통합 과정에서 공주시민들을 완전히 무시한 것으로 드러나 비난을 사고 있다.
지난 22일 '공주대-재복대 통합은 본부이전 속셈'이란 제목의 본보 기사가 나간 이후 공주대의 이번 통합추진은 수도권 진출을 노린 것으로, 통합이 성사되면 그간과 마찬가지(공과대, 산업대, 영상보건대 이전)로 또 다른 단과대 이전은 불 보듯 뻔하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공주지역 사회단체들이 발끈하고 나서 지난 25일 '통합 반대 탄원서'를 국무총리실에 제출하는 등 조직적인 반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공주시의회 의원 11명과 강북발전협의회를 비롯한 3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서명한 이 탄원서에는 지역여론 수렴절차 없는 대학통합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통합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과 통합 승인신청서의 반려를 촉구했다.
이들은 또 지난 2001년 신설된 특수대학 재활복지대의 통합에 따른 장애인의 고등교육기회 상실 등 설립취지 부정 문제점,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간 통합에 따른 지역경제 악화 우려, 국립대학 통합시 동일권역(광역동일권역) 원칙 위배 문제점, 캠퍼스 비대화에 따른 비효율성, 통합 후 단과대 이전에 따른 공주지역의 유령도시화 우려 등을 지적했다.
특히 공주시 강북발전협의회(회장 장원석)는 "공주대의 이러한 행태는 또 다른 꿍꿍이(대학본부 또는 캠퍼스 이전 등)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 사실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려 나가기로 했다.
강북발전협의회는 '공주대 이전 음모를 분쇄하고, 통합을 결사반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홍보물 1,500여부와 플래카드를 만들어 시민여론 환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공주대학교 총동창회(회장 이명기) 또한 재활복지와의 통합에 적극적인 반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내주 초쯤 교육부를 항의 방문해 '국립대학 통·폐합 기준'(대학-전문대간 통합시 전문대 입학정원의 60%이상 감축) 위반 문제점과 '양 대학 통합 원칙'(재활복지대의 교수·교직원정원(123명) 및 입학정원(250명)을 현 상태로 유지키로 하고 찬반투표를 실시했으나, 통합신청시 입학정원을 200명으로 함) 위반 부분, 통합 과정에서의 '절차상 하자'(대학구성원 의견수렴 절차 무시) 등을 조목조목 따진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공주대총동창회와 시민사회단체는 곧 이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어 공주대-재활복지대간 통합의 부당성과 공주대의 비이성적인 행태를 낱낱이 공개키로 했다.
한편, 공주대와 재활복지대는 지난해 12월 29일 교육과학기술부에 국립대학통합 승인신청서를 공동으로 제출하면서 그 말미에 평택시와 평택시의회의 의견을 첨부했다.
양 대학 통합 승인신청서 105페이지에는 평택시의회(의장 유해준)의 '공주대-재활복지대 통합에 따른 평택캠퍼스 유치 동의서'를 증빙자료로 첨부했다.
이와 함께 106~107페이지에 지난해 4월 17일 체결한 평택시-재활복지대-공주대간 지역사회 발전과 양 대학 발전 도모를 골자로 한 '교류협력협약서'를 첨부했다.
반면, 공주시와 공주시의회 및 공주시민들의 의견은 쏙 빠져 일각에서는 "공주대가 공주시민들 알기를 개밥의 도토리만도 못하게 여기는 것 같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공주시와 공주시의회는 공주대로부터 철저히 무시당하고, 왕따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공주대의 비이성적이고 비양심적인 행태에 대한 분명한 입장 표명은 물론 재발방지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란 목소리가 비등해지고 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