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선진충청포럼의 '세종시 수정안 평가 토론회'가 14일 공주대 백제교육문화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리고 있다. |
| ⓒ 특급뉴스 이건용 |
선진충청포럼이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 상처 난 충청도민의 자존심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 부족과 함께 지역 국립대인 공주대 소외 문제를 꼬집었다.
세종시 원안만이 지역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시각에서 벗어나 충청인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한 새로운 담론을 끄집어내자고 주장해 눈길을 끌고 있는 선진충청포럼은 14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 “새로운 희망한국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한 뒤 이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날 오후 2시 공주시 신관동 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 206호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평가 토론회’에서 선진충청포럼 공동대표인 류해일 교수(전 공주대사범대 학장)는 ‘국가백년대계를 위한 교육과학도시로서의 세종시 발전 방향’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세종시 발전방향은 국가미래 신 성장동력과 21세기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과학중심 도시건설로 새로운 희망한국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류 교수는 이어 ▲충청도민 의견 수렴과 충청도 자존심 극복방안 ▲글로벌 인재양성계획 세안 구체화 미흡 ▲지역 국립대인 공주대의 소외 ▲국가 주도 정책개발 도시의 자생력 등을 극복해야할 과제로 꼽았다.
특히 류 교수는 세종시 문제에 대한 정치적 지역 이기주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뒤 “잘못된 것은 바로 잡아야 한다. 세종시는 결코 정치적 흥정물일 수 없고, 국가의 이익을 위해 건설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종시를 세계 속의 ‘교육·과학복합도시’로 건설하기 위한 제안으로 ▲예체능 특설고, 수학·과학 특설고, 인문사회 특설고, 마이스터고, 외국인고 설립 등의 학교공원(School Park)화 ▲교육전문대(교대+사대), 수학·물리 전문대, 화학·약햑·제약 전문대, 인문·철학 전문대, 첨단공학 전문대학원 등의 노벨상을 꿈꾸는 대학공원(University Park)화를 주장했다.
또한 ▲세계교육박물관, 세계교과서도서관, 세계교과서정보은행, 교과서개발출판국 등의 한국(세계)교과서연구원(School textbook Research Park) ▲기초과학·나노·정보·생명·첨단·융합과학 지적재산 기술연구소 등의 첨단과학공원(Advanced Science Park) ▲동양최대의료병원, 한방병원, 의료임상병원, 의·약학 기술연구소 등의 아시아 동·서양 의료복합공원(Asia Medical Institute Cluster Park) ▲녹색그린에너지, 환경산업, 융복합산업, 벤처기업단지 등의 첨단기업단지(Advanced Industry Park) ▲교과부, 보건복지가족부, 환경부 등의 정부부처 이전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첫 발제자로 나선 공주대 교육학과 최준렬 교수는 “세종시가 교육과 과학이 발전하는 핵심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적 기능과 과학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또 “교육은 유치원, 초·중등교육, 고등교육이 종합적으로 계획되어야 하며, 과학도 연구와 응용 등이 체계적으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들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교육과 과학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세종시가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교육적 기능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세종시가 교육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유치원을 비롯해 초·중·고 교육을 육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적 구조 마련 즉, 국가의 교육적 기능, 세계적의 교육적 기능을 선도할 수 있는 교육기관, 연구기관 등이 마련돼 대한민국의 교육, 세계의 교육을 연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체제가 구비돼야 한다“고 밝혔다.
공주대 상업정보교육과 이종호 교수는 자족도시의 세 가지 요건으로 인구 규모 30만 이상, 모 도시와의 떨어진 거리 22km 이상의 입지 조건, 공공시설·문화의료·편익시설 등 3가지 개발밀도를 제시하면서 “정부의 수정안은 전체적인 그림은 맞으나, 성공하기 위해서는 보완할 부분도 있다”고 주장했다.
고진광 연기군 행정수도 범시민사회 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정부의 수정안은 졸속으로 세워져 국민 설득력이 부족하다”면서 “추후 세종시에 입주한 기업들이 떠나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담보할 수 있느냐?”며 우려를 표명했다.
장원석 공주 강북발전협의회장은 “세종시 건설로 인해 인구(전체의 5.1%, 6,533명), 면적(전체의 8.2%인 76.63㎢, 3개면 21개리), 세금(년 300억원 정도) 등 시세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공주시의 세종시 편입 ▲공주대와 공주교대 통합 후 세계적인 국제교육대학원 설치 ▲백제 금강문화권 개발 ▲교과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외 몇 개 부처의 추가이전 등을 주장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