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3월 11일부터 13일까지 충남도청이전반대시위로 인해 일본경찰 300명에 의해 50여명의 공주시민이 구속됐다. 사진은 구속된 50여명의 석방을 요구하는 농성을 벌이고 있는 장면 ⓒ 특급뉴스 김광섭공주의 하늘이 어둡다. 문제는 하늘이 어렵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고 있거나, 알고 있어도 이런저런 이유로 덮어두려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이 더욱 기자를 슬프게 한다. 노무현 정부의 ‘공주연기 신행정수도건설’공약은 지금의 꼬락서니(?)로 흘러간다면 결국 공주(公州)의 비극만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연기군은 “잔여지역을 모두 행정중심복합도시에 편입시켜 달라”는 주문을 냈고, 청원군은 “아예 빼 달라”는 주문을 냈다.지금의 상황으로 봐서는 그들의 요구대로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공주는 어떤가? 그럴듯한 요구를 한마디도 하지 못하고 있다가 금싸라기 같은 멀쩡한 면(面)하나만 빼앗기게 될 판이다. 그런데도 모두 침묵만 하고 있다. 아는 지, 모르는 지, 어쩌자는 것인지 도대체가 알 수가 없다. 차라리 우리도 “다 넣어 달라”던지, “다 빼 달라”던지 요구라도 해봤었더라면 속이 덜 터질 것 같다.행정중심복합도시가 건설 되고 나면 생기게 될 블랙홀 현상은 미처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당장 공주시 강남권의 인구가 신관동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노무현 정부의 지방분권정책에 따른 공주연기 신행정수도건설공약은 ‘충남도청 환청’이라는 공주시민들의 소망을 무산시키는데 커다랗게 일조했다. 그리고 ‘도청환청’ 무산의 또 다른 공신(?)은 당시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시키고자 머리를 싸맸던 정치권이었다. 당시 충청남도는 ‘공주출신’이라는 분이 도지사를 하고 있었고, 이 분의 단골 공약이 ‘도청환청’이었다. 또한 공주지역을 대표하는 도의원이 분명히 있었는데도 홍성예산으로의 도청이전에 대한 의견은 ‘만장일치’였다. 그런데도 공주시는 조용했다. 과거 우리의 선조들은 비록 도청을 빼앗겼을망정 항거했고, 자존심이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76년 전인 1931년 3월 13일 공주지역의 조상들은 충청남도평의회(지금의 도의회)가 총독부의 충남도청 대전 이전 결정을 인준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고 그 해 3월 11일부터 13일 오전까지 횃불시위와 투석전을 벌여가며 도청이전반대시위를 극렬하게 펼쳤다. 당시는 일제시대였다.이 때 일본 경찰은 300명을 동원해 시위자 50여명을 구속했고, 공주시민들을 구속된 50여명의 석방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보낸 후 충남도청 앞에서 석방농성을 벌였다.결국 대전으로 도청은 이전했지만, 이 시위로 상하수도와 금강교, 학교 등의 부산물(?)을 얻었다.지금 우리의 터전을 놓고 다들 이전투구를 벌이고 있다. 정부는 정부대로, 도는 도 대로, 타 군은 타 군대로. 그런데 공주는 무슨 죄를 지었는지 땅을 빼앗겨 놓고도 “아프다”소리 조차 지르지 못하고 있다.ⓒ특급뉴스김광섭

누구는 도청이전으로, 누구는 행복도시 주인으로 모두 함께 갈 수 있어서, 누구는 아예 발을 뺄 수 있어서 속으로 머리를 굴려가며 미소를 짓고 있는데 공주는 공주(空州)가 돼 가고 있는데도 책임지려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

이는 결국 심판하지 않는, 심판없는 시민의 잘못이다. 냄비의 물이 서서히 데워지고 있다. 지금의 위기를 파악하지 못하고 따뜻하다고 느끼고 있다면 결국 냄비에서 우리는 팽형(烹刑)을 당하게 될지도 모른다.

지금의 공주. 분명히 위기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