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와 충남대의 통합을 전제로 한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선정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공주대의 충남대로의 흡수통합과 상권 붕괴를 우려하는 시민들의 간담회가 개최됐다.

24일 오후 공주시 신관동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공주대 대학가인 신관동지역의 전현직 시민사회단체장, 공주대 총학생회와 총동문회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공주대 소멸을 앞당기는 통합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신관지역 전현직 단체장들은 “강북 상권의 핵심은 공주대의 존재 그 자체인데, 충남대와 통합하면 머지않아 공주캠퍼스는 껍데기만 남을 것이다. 지역사회를 죽이는 것이 이 정부의 클로컬대학정책이란 말인가”라며 “주민 뜻을 무시하고 추진하던 예전 공과대학의 천안 이전과 교명 변경 시도를 둘러싼 악몽이 떠오른다. 이대로 가면 공주대 대학가의 상권 궤멸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공주대학 측을 성토했다.

이들은 ‘글로컬대학에 선정되면 공주대의 통합대책을 상의하겠다’며 일방통행식 대학통합을 추진하는 공주대 총장에 대해 “지역주민 의사를 무시하고 지역의 소멸을 앞당기는 사람이 국립기관장이라면 당장 사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공주사대 출신인 교육부장관이 소멸지역인 공주시가 아니라, 세종과 대전 같은 대도시 위주의 대학 정책을 펴는 것 아니냐”면서 큰 우려를 나타냈다.

공주대 총동문회측은 “총동문회의 의사를 무시한 흡수통합과 모교의 소멸은 절대 용인할 수 없다. 마치 부모님 묘를 파헤치는 강도를 만난 심정”이라며 “공주교대와 충남도립대학과의 우선 통합 등 공주대의 독자적 발전방안을 진지하게 검토할 것을 대학본부 측에 여러 차례 전달하고 요구했지만, 임기 1년 남짓 남은 타 대학 출신 총장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글로컬대학 추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공주대 총학생회 측은 “대학 간 대등한 통합이라면 찬성할 수 있지만, 학생들의 의사를 결집하기 위한 행동조차 무시하는 학교측의 무성의와 일방통행, 숙의와 토론이 아닌 여론조사방식의 강행처리에 무력감을 느꼈다”며 “학생들이 공주대학교를 다닌다는 자부심에 상처를 입히는 글로컬대학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라고 성토했다.

이들은 공주대 통합이 가져올 영향에 대해 홍보활동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아울러 시청과 도청, 시의회와 도의회 등 시민 의사를 대변하는 기관의 책임있는 활동을 강력 촉구하고, 만약 공주대가 글로컬대학에 선정되더라도 공주대의 조기 소멸을 막기 위한 다양한 행동을 강구하기 위한 시민대책협의회를 광범하게 구성해 적극 가동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