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이달초 결정하기로 돼있던 글로컬대 본지정 발표를 월말로 미룬 가운데 두 대학 통합에 반대하는 공주시민들의 우려와 반발이 거세다.
23일 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공주 시민사회에서는 두 대학 통합에 따라 유사‧중복 학과 단일화가 현실화 될 경우 학생들이 대전으로 썰물처럼 빠져 나가는(인구유출) 부작용을 가장 크게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두 대학의 유사‧중복 학과는 70여개다. 이들의 절반만 대전(충남대)으로 이전해도 2000~2500여명이 공주에서 사라진다.
양측 합의 없이 인위적 학과 통폐합은 없다는게 공주대 주장이지만 강제규정이 아니다.
통합의 기본 취지가 재정 효율성과 구조조정이기 때문에 학과 통폐합은 피할수 없다.
행안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기준 공주시 인구는 10만 488명이다. 인구 유지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10만명 붕괴가 코 앞이다. 2021년 보령시 10만 붕괴, 지난해 청양군 3만 붕괴를 경험한 공주시에게 공주대생 유출은 ‘공포’다.
학생 유출은 소비 급감으로 이어져 신관‧월송의 상가 공실과 상권 붕괴 등 지역경제 위축에 직격탄이다.
통합시 △대학명칭→충남대로 △대학본부 위치→대전 캠퍼스로 △통폐합 학과 위치→대전 캠퍼스로 △공주대 의대신설 무산 등 유무형의 각종 ‘손실’도 예견된다.
시민들은 이런 복합적 피해가 뻔한데 왜 굳이 통합하려는지, 대학만 살면 그만인지, 지난 80년 가까이(1948년 개교) 공주대에 예산을 주며 사랑해 준 시와 시민들은 ‘버려도’ 되는지 서운함을 드러낸다.
이를 의식한 임달희 공주시의회 의장은 이달 초 시의회에서 공개적으로 통합반대 5분발언을 했다.
공주대 총동문회도 이달 중순 언론에 통합반대를 주장하며 충남도‧공주시‧시의회‧주민 등 각 대표와 ‘발전위원회’를 구성해 공주대 중심의 독자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대학 통합이 글로컬대 지정의 선결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독자발전’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김권한 공주시의원도 “공주의 ‘정서적 랜드마크’인 공주대가 사라지면 시민들의 상실감은 클 것”이라며 “통합하더라도 대학 본부와 인문‧사범대 등을 공주에 두는 게 대안이 될수 있는지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주대가 글로컬대 지정을 받을 경우 통합대는 약 1500억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는다.
일정상 통합대 출범은 2028학년도 3월께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핵심 ‘지분’을 쥔 총동문회의 반대와 시민사회의 불만이 커 충남대와 통합에는 상당한 내홍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