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 교명수호 단식투쟁이 23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공주대 전·현직 총장들의 신중치 못한 의사결정에 대한 비난 여론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공주대 전·현직 총장들의 신중치 못한 의사결정에 대한 비난 여론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공주대 교명수호 단식투쟁이 23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전직 총장의 교명변경을 전제로 한 천안공전과의 합의서 체결과 현직 총장의 충남대와의 통합논의 합의각서 체결 배격 등은 신중치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이춘우 명예교수는 지난 17일 기자회견에서 “구성원들의 동의없이 작성된 공주대-천안공전간 합의서는 법적구속력이 없다. 최석원 前 총장의 월권행위였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아울러 김재현 총장 취임이후 충남대와의 통합논의 합의각서를 무시한 것과 관련해서도 비난의 목소리가 점점 고조되고 있다.

최석원 전임 총장은 지난 2005년 11월 우여곡절 끝에 충남대와 공주대는 본격적인 통합논의를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당시 양 대학은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통합 대학본부 및 전문대학원 설치와 아울러 국가핵심대학이 될 수 있도록 특성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통합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한 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 행정도시에 공동 대응키로 합의했었다.

그러나 김재현 총창 취임이후 ‘천안캠퍼스 부지확보 이후 충남대 통합’으로 방향을 급선회, 통합논의가 교착상태에 빠지자 양현수 전 충남대 총장은 “공주대와의 통합을 위해 총장직을 포함해 모두 양보하겠다”며 강한 재추진 의사를 피력했으나 김 총장은 이마저도 거부했다.

결국 양 대학의 통합구도가 흔들리고, 통합정신이 훼손되면서 행정도시 입주가 무산되는 결과를 초래, 대학의 100년 대계를 망쳤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교수와 교직원 2/3이상이 충남대와의 통합 논의에 대해 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 총장이 교수·학생·동창회·지역주민까지 반대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끝까지 고집을 부리는 이유는 납득하기 힘들다는 비판 또한 제기되고 있다.

공주대 관계자는 “충남대와의 통합 논의는 잠정적으로 중단 됐을 뿐, 언제든지 추진될 수 있는 사안으로 현재도 진행 중”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도 공주대는 당시 충남대와 체결한 양해각서 전문과 양해각서 체결 전 학생, 교수, 교직원들의 찬반투표 내용에 대해서는 “진행 중인 사안”이라는 이유로 공개를 거부했다.

한편, 단식투쟁 23일째인 20일 오전 8시 시민사회단체, 재직교수, 총동창회, 학생 등 300여명은 정부중앙청사 상경집회 출정식을 갖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투쟁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이들은 또 “이번 사태가 조기에 매듭지어지지 않는다면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극한투쟁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여기에 더해 천안지역의 사회단체마저 지난 18일 긴급 대표자모임을 열어 교명변경의 조속한 이행을 촉구하면서 “교명변경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공주대는 천안에서 간판을 내리고 돌아가라”고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오는 28일 천안 신부동 아라리오 광장에서 공주대의 조속한 교명변경 이행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키로 하는 등 교명 변경을 둘러싼 갈등이 학내 갈등을 넘어 지역간 갈등, 법적공방, 대정부 투쟁 등 일파만파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