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중회 공주대 교수
교육인적자원부 공문(대학정책과-6800)에 의하면, ‘교명 변경에 반대하는 교수, 학생, 동창회, 지역사회 등’ ‘학내구성원 및 지역사회의 갈등이 심화’되어 ‘교명 변경 신청서가 ‘반려’되었다.

이번 사태의 과정을 바라보면서 안타까움과 슬픔이 앞선다. 그동안 김재현 총장은 교명 변경을 성취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했다.

아니 ‘무리한 방법’까지도 서슴지 않았다. 총장 후보 시절의 공약을 지키기 위해서일 것이다. 공약을 지키려는 총장의 노력을 탓할 생각은 없다.

하여튼 교육부의 신청서 ‘반려’로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그동안 찬·반의 양쪽도 많은 상처를 입었지만, 이제부터는 최선의 방법을 찾아 ‘치유하는 해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몇 가지 개인적인 소회를 제시하고자 한다.

1) 총장은 결자해지라는 입장에서 이번 사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만시지탄이지만, 그래도 ‘해결의 최적기가 지금’이라고 본다. 총장은 ‘반려’의 책임을 보직 교수의 전원 혹은 일부에게 물어야 한다. 누군가 책임지지 않고는 일을 해결하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2) 신문 보도에 의하면, 반려의 사유는 ‘구성원 의견이 합치되지 않았다’는 점과 ‘한국이라는 이름을 쓸 수 없다’는 점이다.

적어도 이런 조건이 개선되지 않는 한 이제 교명 변경 시도는 어렵게 되었다. 사실 구성원간의 불일치는 오늘 천안의 집회를 비롯하여 수많은 찬반 측의 집회가 이를 증명하는 행위이다.

찬반 측의 여러 성명서 또한 구성원간의 의견 불일치가 ‘사실’임을 입증하기 때문에 교육부에서 이를 인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이런 소모전을 빨리 해소하도록 진지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3)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느낀 점을 찬·반 모두 ‘공주대학교에 대한 애교심이 대단하구나’라는 사실 확인이었다.

물론 보는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사랑 자체는 다르지 않다고 본다. 이제 그 방식을 하나로 모을 때이다.

총장은 빠른 시일 내에 대학의 3주체(학생·교수·직원)나 5주체(동창회·지역사회와 학부모)의 결집하여 상생 모드로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

공주대학 총동창회나 공주시와 의회, 천안공과대학이나 예산산업대학의 에너지, 이들 모두를 집약한다면, 황소라도 때려눕힐 것이다.

이번 사태에서 직시해야 할 것은 찬·반 어느 측도 승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학교 발전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방법상의 차이로 서로 의견의 불일치가 왔을 뿐이다.

이제는 한 발씩 물러서서 ‘감정’을 추슬러야 한다. 공주대학교는 어느 누구의 개인적인 사유물이 아니고 우리 전체의 값진 보석이기 때문이다.

만약 총장이 이 기회를 놓친다면, 이 사태는 다시 걷잡을 수 없는 혼돈의 상태로 떨어질지도 모른다. 총장이 서둘러서 일을 추진한다고 해도 벌써 2년이 거의 흘러가고 말았다.

이를 만회하도록 서로 끌고 밀어주며 상생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우리 공주대학 발전을 위하여 건배를 들자.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