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시절에 가장 두려웠던 동물은 개가 아니고, 수탉이다.

우리 집 밭을 가려면 할머니가 혼자 사시는 집을 지나가야 했는데, 그 집에서 기르는 수탉이 엄청 무서웠다.

그 수탉은 내가 그 집 앞만 지나가면 용케도 알고 쫓아 나와 나를 공격했다.

얼마나 공격적으로 대들고 쪼아대는지 내가 넘어져서 울면, 할머니가 부지깽이를 들고나와 닭을 쫓아주셨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수탉 (출처: 블로그 대구배할배)
수탉 (출처: 블로그 대구배할배)

봄이 되면 수탉만큼은 아니지만, 암탉도 사납게 변했다. “구구구” 소리를 내면서 날개를 반쯤 펴고 다른 닭이나, 심지어는 강아지에게도 위협하며 돌아다니기도 하고, 알 퉁가리에 다른 암탉이 낳은 알을 품어주기도 했다.

암탉이 이런 행동을 하면, 아버지는 수탉이 있는 집에 가서 달걀 20여 개를 사 오셔서 볼펜으로 까만 점을 그리고, 알 퉁가리(암탉이 알을 낳도록 짚으로 삼은 집)에 넣어주셨다. 그러면 이때부터는 그렇게 사납게 굴던 암탉이 얌전해지고, 알을 품기 시작했다.

20일 정도 지나면 어머니가 바빠지셨다. 하루에도 여러 번 헛간에 가서 알 퉁가리를 살피면서 병아리가 부화하기를 기다리셨다. 나는 병아리가 생겼나 보려고 암탉 깃털을 살짝 들어 올리다가 여러 번 혼나기도 했다.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기 시작하면, 어머니는 깨고 나온 알껍데기를 알 퉁가리에서 꺼내 얼기미(어레미의 충청도 방언- 구멍이 넓은 체)에 담았다.

그러면서 갓 깨어난 병아리를 얼기미에 담아서 보여 주셨다. 작고 노오란 병아리가 얼마나 귀여운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 좁쌀을 물에 불려 모이를 주셨고, 그 옆에 그릇에 물을 떠 놓으셨다. 병아리는 물 한 모금 먹고 하늘 한번 쳐다보고를 반복했다.

그런 모습을 보며 물을 목으로 잘 넘기려고 하늘을 쳐다보는 줄 알았다. 이런 행동은 소리개(솔개의 사투리)를 주의하는 본능적 행동이라는 것을 나중에서야 알았다.

알퉁가리 (출처: 카페 우리산나물)
알퉁가리 (출처: 카페 우리산나물)

어미 닭이 알을 품은 지 20일쯤 되면 달걀 속에서 병아리가 밖으로 나오기 위해 속껍질을 쭉쭉 소리를 내며 빤다고 한다.

이 소리를 들은 어미 닭이 알껍데기를 톡톡 조금 깨준다. 그러면 드디어 새로운 생명체가 밖으로 나온다. 이 행동을 교육용어로 ‘줄탁동시((啐啄同時)’라고 한다.

병아리가 안에서 나오려고 갈구하면, 어미 닭이 밖에서 동조해준다. 그러면 병아리가 스스로 깨고 나올 수 있다.

학생이 배움을 갈구할 때 스승은 옆에서 약간의 조력으로 스스로 학문을 익힐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일방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스스로 깨우칠 수 있도록 슬쩍 밀어주는 것이다.

알이 스스로 깨고 나왔으니 위대한 생명체가 된 것이다. 만약 사람이 깨주었다면, 달걀부침밖에 되지 못했을 것이다.

‘넛지’라는 말이 있다. 잘할 수 있도록 팔꿈치로 슬쩍 찔러주는 것이다. 교육이 이렇다.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고, 격려해주고, 칭찬해주고, 조력해 줄 때 우리 자녀는 큰 인물로 성장할 수 있다.

한글지도과정 (전)세종교육청 양지숙 장학관 제공
한글지도과정 (전)세종교육청 양지숙 장학관 제공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