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라 했다.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세우는 크고 중요한 계획이라는 의미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교육을 과연 백년대계라고 할 수 있을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현재 대한민국의 총인구는 5,162만 8,117명이다.

이 가운데 0-14의 비율은 593만 4,472명(11.9%)이고, 65세 이상 인구는 901만 8,412명(17.5%)이다. 이에 따르는 유소년 부양비는 16.2%이고, 노년 부양비는 24.6%이다.

그런데 48년 뒤인 2070년이 되면 대한민국의 인구는 3,765만 5,867명, 0-14세 인구는 281만 5,279명(7.5%), 65세 이상 인구는 1,747만 2,938명(46.4%)로 예측된다. 이때 유소년 부양비는 16.2%, 노년 부양비는 100.6%로 추산된다.

이러한 통계만 살펴봐도 대한민국은 교육계획을 어떻게 수립해야 할 것 인지 답이 나올 것이다. 교육은 백년대계인데, 그 절반인 50여 년 뒤의 통계만 살펴보더라도 유소년은 줄어들고, 노인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당연히 노년 교육에도 관심을 가지고 노년 교육에 대한 청사진이 나와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이에 관한 이렇다 할 계획이 발표되지 않아 안타깝다.

지금이라도 전반적인 교육의 방향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 세상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할아버지로부터 손자가 배웠다면, 이제는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배워야 하는 세상이 된 것.

최첨단 기능을 탑재한 기계들로 인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은 휴게소에 가서 밥 한 그릇 사서 먹기도 힘든 것이 현실이다.

해마다 초등학교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고, 어린이집도 원아의 감소로 해마다 문을 닫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재학생 수가 총 100명도 안 되는 학교에 국민이 피땀 흘려 낸 혈세를 수십억 원씩이나 들여 건물을 지을 것이 아니다.

기존의 건물을 지역주민, 노인을 위한 교육 장소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그리고 문 닫는 어린이집을 노인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공해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유소년은 줄고, 노인이 늘면 줄어드니 노년 학생으로 채울 수 있는 해결책을 쓰면 될 것 아닌가.

학생보다 교직원이 더 많은 학교까지 있는 이 불편한 상황을 도대체 언제까지 눈치만 보며 외면할 것인가.

이제는 청소년, 학교, 입시교육뿐만 아니라 노인, 디지털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재교육이 필요하다.

그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로 지금 교육부가 할 일이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