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면 지명 유래

반포면은 마한 때 유성쪽에 신흔국과 접해 있었고 백제 때 웅천, 신라 때 웅천주 웅주에 속해 있었다.
신라 선덕왕 때 동학사가 창건되어 계룡산 주변에 부락이 활발하게 형성되었다.
고려 때는 공주목과 덕진현에 관할에 속하였고 조선시대 초기에도 공주목과 덕진현의 일부 지역이었으며 조선 말에 공주목 면리로 원봉리에 있는 반계, 반포의 이름을 따서 반포면이라 하였다.

 各 里의 地名由來



孔巖里(공암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마을 옆에 孔巖窟이라는 큰 窟이 있어 孔巖이라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孔岩里, 中山里, 德谷里, 蓮亭里, 書院里, 吉滿里을 倂合하여 孔巖里라 하였다.



菊谷里(국곡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들국화가 많이 피는 地域이라 菊谷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龍浦里, 杏亭里의 一部를 倂合하여 菊谷里라 하였다.



道南里(도남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山 南쪽에 있다하여 道南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南月里, 城峙里, 盤永里을 倂合하여 道南里라 하였다.



馬巖里(마암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말같이 생긴 말 바위가 있어 馬巖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馬於口里, 盤龍, 院垈, 馬峙里, (益貴谷面)道德洞을 倂合하여 馬巖里라 하였다.



鳳谷里(봉곡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國師峯 아래 골짜기에 位置하여 새울 또는 鳳鳴, 鳳谷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鳳鳴里, 鳳岩里, 甲洞, 檢川里를 倂合하여 鳳谷里라 하였다.



鳳巖里(봉암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鳳凰새가 앉아서 우는 鳳凰바위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鳳巖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德川里, (德津縣)松谷里를 倂合하여 鳳巖里라 하였다.



上莘里(상신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큰 둠벙이 있어 莘沼라고 부르며 莘沼골 위에 位置하여 上莘沼 또는 上莘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 때에 上莘里라 하였다.



聖岡里(성강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聖岡山城 아래에 位置하여 聖岡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南山里, 城山, 花岩里를 倂合하고 聖岡里라 하였다.



松谷里(송곡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雨傘峯 아래쪽 골짜기에 位置하여 소호골 또는 松谷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 때 松谷里라 하였다.



溫泉里(온천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예전에 元田이라 불렀고, 땅에서 뜨거운 물이 나와서 源泉 또는 溫泉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朴亭子 沙峯里를 倂合하여 溫泉里라 하였다.



元峯里(원봉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山峰우리가 둥그스름한 두리峯이 있어 圓峯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隱溪里 舟谷里를 倂合하여 元峯里라 하였다.



下莘里(하신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큰 둠벙이 있어 莘沼라고 부르며 莘沼골 아래에 位置하여 下莘沼 또는 下莘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 改革에 따라 溫泉里를 一部 倂合하여 下莘里라 하였다.



鶴峯里(학봉리)

朝鮮 末에 公州郡 反浦面 地域으로 東쪽으로 鶴이 나는 곳에 安息處가 있다는 鶴바위와 一峯의 이름을 따서 鶴峯이라 하였다.

연 혁

백제시대 웅천 관할에 속함.
신라시대 웅주 관할에 속함.
고려시대 공주목 관할과 덕진현의 일부.
조선시대 초 공주목 관할과 덕진현의 일부.
1750년대 공주목의 면리로 반포면이라 명명.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덕진현의 지역이 연기군과 대덕군에 이관하고 공암, 성강리등 16리 관할.
1973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도암, 성덕 영곡리를 연기군에 이관.
1992년 리 행정구역 조정.
1995년 도농통합으로 공주시에 편입.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