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산리(月山里)

위치: 북쪽은 대산2리, 동쪽은 대산1리, 남쪽은 사곡면, 서쪽으로 내문리와 접해 있다.

연혁: 백제 때 웅천에 속했다. 신라 때는 웅주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공주목에 속했다. 조선시대 때는 공주군에 속했으며 조선시대 말엽에는 공주군 정안면의 지역으로 운중반월형(雲中半月形)의 명당이 있다하여 月山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송천리, 목동, 중산리, 호도리, 월은리, 용운리, 조산리, 화평리 일부를 병합해 월산리라 했다.

개티(蓋峙) <고개>

위치: 월산리 북쪽
유래: 월산리에는 천원군 광덕면 개티 넘어가는 고개인데 이 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도 개티라고 부른다.

거사막골(巨沙幕골) <마을>

위치: 병풍골 남서쪽 골짜기
유래: 거산 이래 있는 마을이다. 마을이 처음 생길 때 山幕으로부터 시작 된 마을이라 거사막골 또는 거사막동이라 부른다.

너푼덕골, 고덕골 <마을>

위치: 위리니 서쪽
유래: 넓은 덕을 베푸는 마을이라 너푼덕골 또는 고덕골이라 부른다. 너푼덕, 괴덕동, 용운동 또는 용운리라 부르는 마을인데 옛날에 이 마을에서 이무기가 용이 되어 승천했다 한다.

바랑산 <산>

위치: 월산리 북쪽
유래: 산의 모양이 중의 바랑과 같이 생겼다 해서 바랑산이라 부른다.

병풍골(屛風골), 송천리 <마을>

위치: 화평 남서쪽
유래1: 屛風谷 또는 松川里라고 부르는데 모양이 병풍처럼 생긴 바위가 있고 송림이 우거졌으며, 냇물이 맑아서 한 폭의 그림 같은 마을이다.
유래2: 산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어서 병풍골이라 했으나 후대로 오면서 평풍골이라고 바뀌었다.

병풍바위(屛風바위) <바위>

위치: 병풍골
유래: 바위모양이 병풍을 두른 것 같이 생겼다 해서 병풍바위라 부른다.

어둔골 <골>

위치: 거사막골 서남쪽 위의 골짜기. 사곡면 유룡리 새터로 넘어가는 골짜기
유래: 높은 산이 사방에 둘러 있어서 한낮에도 어둠침침하다해 어둔골이라 부른다.

위라니, 월안이 <마을>

위치: 월산리
유래: 마을 뒷산에 운중반월형(雲中半月形)의 명당터가 있다한다. 월은리(月隱里)라고도 부른다. 월산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달이 숨은 지형이라는 뜻이다.

월안이 동제 (동제)

정월 열 나흗날에 산신제, 보름날에는 동제를 지낸다. 축관 선발, 금기사항, 제수용품 종류 및 진설, 제의 절차, 경비 모금방법, 제의 후의 뒤풀이 등은 다른 마을과 유사하다.

중산이 (中山이) 마을

위치: 바랑산 아래
유래: 중산리(中山里)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이 가운데에 있다 해서 中山이라 부른다.

중산이 동제(동제)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산신제를 지낸다. 축관 선발, 금기사항, 제수용품 종류 및 진설, 제의절차, 경비모금방법, 제의 후의 뒤풀이 등은 다른 마을과 유사하다. 한자 축문을 음서한 것이 특징이다.

화평(花坪) 마을

위치: 위라니 동남쪽
유래: 마을 앞에 화랑잇들 이라는 들이 있는 마을이다.

고덕동 마을

위치: 월안이 북서쪽
유래: 높은 덕과 같은 장소로 지대가 높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고덕동 산진제(동제)

정월 열 나흗날에 산신제를 지낸다. 축관선발, 금기사항, 제수용품 종류 및 진설, 제의 절차, 경비 모금방법, 제의 후의 뒤풀이 등은 다른 마을과 유사하다.

중보들 (들)

위치: 중산이 아래
유래: 중보들 위쪽 중보가 있어서 중보들이라고 부른다.

중산이 (산)

위치: 중보들 위쪽
유래: 원래는 중의 산이었다. 뒷산의 형세가 중의 고깔모양이어서 중의 산이라고 불렸는데 내려오면서 중산이라고 불려졌다.

남학골 (골)
위치: 평풍골 남동쪽
유래: 남쪽에서 학이 날아 오는 형세여서 남학골이라고 부른다.

고엽나무골(골)

위치: 평풍골 서쪽
유래: 큰 고엽나무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증골(골)
위치: 화평들 서쪽
유래: 옹기 그릇 굽는 가마가 있었고, 깨진 토기 그릇도 많이 발견됐다.


★공주지명지 참고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