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계룡면 하대리에 있는 느티나무. 해마다 이 곳에서 철석제가 열린다.

아래는 계룡지의 물결이 넘실거리고 위로는 계룡산의 연천봉, 삼불봉이 마을을 자신의 품에 안고 있는 마을,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명당마을이 바로 계룡면 하대리이다.

북쪽은 중장리, 동쪽은 양화리, 남쪽은 금대리, 서쪽은 월암리에 접해 있는 이 마을은 백제 때는 웅천에, 신라 때는 웅주에, 고려 때는 공주목에, 조선시대엔 공주군에 속했다.

조선시대 말엽엔 공주군 익구곡면의 지역으로 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대장 또는 하대장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우산리, 신대리, 신구리, 구암리, 벽계리. 상현리, 중현리, 하현리, 옥동, 석계리, 점촌을 병합하여 하대리라 하고 계룡면에 편입됐다.

71가구 130명이 살고 있는 이곳의 주민들은 거의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 마을 전임 이장인 김석기씨(57)는 “우리 마을은 경로사상이 투철하고 효행이 남다르다”고 말하고 농촌사회의 고령화로 인한 농촌일손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농번기에 서로 도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각 마을 유래와 명칭을 보면 - 감바위: 마을 뒷산에 검은 바위가 있다 해서 검은 바위 또는 현암이라 불렀는데, 검바위가 되었다가 감바위로 변해서 부르는 바위다.

마릿골: 조선시대 익구곡면의 면사무소가 있었던 마을인데 이 지역에서 으뜸인 마을이라 하여 머릿골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마릿골이라 부른다고 전해지나 실제 주민들은 마룻골(宗谷洞)로 부리고 있다.

방아다리, 지교: 이 곳 지형이 방아다리처럼 생겼다 해서 마을을 방아다리, 지교라고 하나 지금은 방아달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배바위: 바위의 생김생김이 배처럼 생겨서 배바위라고 불렀는데 이 곳은 계룡지에 묻혔다. 보목, 보황, 포목, 서당골: 이 곳에 흐르는 물은 막은 보의 목이 되는 곳에 마을이 있다 하여 보목, 보황, 또는 포목이라 부르며 또한 옛날에 이 마을엔 서점이 있었다 해서 서당골이라고도 부른다.

석계: 마을에 있는 냇물에 돌이 많다 해서 석계라 부른다.

내대(內垈), 안말: 마을 안쪽에 자리한 마을이라 내대, 또는 안말이라 부른다.

점촌, 점말: 옛날에 옹기점이 있었다 해서 점말 또는 점촌이라 부르는 마을이다.

신대장: 마을이 대장 마을 부근에 새로 생겼다 해서 신대장이라 부르는 마을이다.

덕대골: 예전에 덕대가 있어서 덕대골이라 부른다. 부도골: 부도단지가 있어서 부도골이라 부른다.

되재: 넘기가 힘든 고개라 하여 되재라 한다.

서당동: 예전에 성황당이 있었다 한다. 치마바위: 바위가 치마처럼 생겼다 한다.

은골: 명당이 숨어 있다고 한다.

범바위: 부락 뒷 편으로 범의 모양을 하고 있는 검은 바위가 있는데 이를 범바위라고 부르며, 이 바위를 중심으로 북쪽에 있는 마을을 상현(서당동), 중앙은 중현(고임정) 남쪽으로 하현(감바위)라고 부른다.

원터: 이 마을의 뒷산에 옛날 고려장이 많이 있었다고 하여 고린장 마을이라고 하였으나 마을 사람들의 협의에 의하여 현재는 고임정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동 뒤: 원터의 뒤편에 있다하여 동뒤 라고 부른다. 예전에는 집 한 채만 있었는데, 계룡 저수지가 생기면서 이 마을로 사람들이 이전해 왔다.

하대리에는 수령이 530년 된 느티나무(둥그나무)가 있다. 일제시대에 같은 종의 나무가 6~7그루나 있었지만 일본인들이 모두 가져가고 지금 남은 나무는 당시 가장 못난 나무라서 가져가지 않은 것이라고 한다.

해마다 칠월칠석 일에는 전 주민이 참여한 가운데 마을주민들의 평안을 위하여 이 나무에 제를 올리는 '칠석제'가 열린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