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경 ( 스토리텔링 작가/ 전주대 연구교수)

아주 어렸을 때 아버지의 손을 꼭 붙잡고 찾아 간 친척집 큰 마당에서 나는 처음으로 '두부'를 만드는 즐거운 추억을 가지게 되었다.

무겁고 육중한 검은 가마솥 안에서는 콩을 맷돌에 갈아서 국물만 짜낸 콩물이 간수와 만나 몽실몽실 하얗게 떠오르는 순두부가 보글보글 끓고 있었다.

나는 하도 신기해서 고사리 같은 작은 손으로 가마솥 안을 젓겠다고 큰 나무 주걱을 휘휘 둘러 본 기억이 있다.

그래서였을까. 나는 특별히 “두부”를 만드는 일에 관심이 많았다. 우리 “계룡산상신농촌체험휴양마을”로 “두부 만들기” 체험활동을 오겠다는 문의가 오면 체험 인원이 적어도 흔쾌히 OK하는 편이었다.

그런데 며칠 전 설 명절을 바로 코앞에 두고 내가 직접 참여한 “두부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나는 이렇게 오랜 시간을 정성을 들여야 하는 어려운 “두부 만들기”에 지쳐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

평소 잘 알고 지내던 지인이 우리 계룡산 상신마을 농촌체험휴양마을센터에서 어머니들이 직접 만든 “두부”와 “전통주”로 이번 정유년 새해, 설 명절 아침에 차례를 지내고 싶다는 부탁을 거절하지 못해 감행한 “두부 만들기”는 진짜 어려웠다.

일단, 두부를 만들려면 두부를 만들기 하루 전날 콩을 깨끗하게 씻고 또, 씻어 맑은 물에 담가 놓아야 한다. 이는 콩이 잘 불어야 콩을 맷돌로 갈든 방앗간에서 갈아 오든 비로소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것은 두부 만들기에 시작에 불과했다. 이렇게 곱게 간 콩은 큰 솥에 물을 펄펄 끓여 그 뜨거운 물속에 한 바가지 씩 정성스럽게 살짝살짝 놓아야 한다.

그 다음 다시 그 끓인 콩물을 하얀 자루에 넣어서 힘들게 꼭꼭 짜서 비지는 놔두고 걸러진 엑기스 콩물만 다시 큰 솥에 집어넣고 나무 주걱으로 살살 저어가며 적당히 끓인 후 간수를 알맞게 넣어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내 기억 속에 있는 순두부가 몽실몽실 솥 안에서 떠오르게 된다. 그럼, 그것을 다시 모판에 흰 보자기를 깔고 또 한 바가지 씩 정성스럽게 퍼서 담아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온 정성을 다해 꾹~ 눌러주어야 맛있고 고소한 “두부” 한 판이 탄생되게 되는 것이다.

평소 그냥 “두부 만들기” 체험이 들어오면 건성으로 어머니들을 도왔던 나는 이번 “두부 만들기” 체험을 통해서 많은 것을 깨달았다.

진정으로 맛있고 고소한 우리 100% 상신표 두부 한 모를 얻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어머니들의 손길과 정성이 들어가야 하는지를 진짜 알게 된 것이다.

행복한 정유년 새해가 밝았다. 나는 우리 계룡산 상신마을 어머니들의 정성스런 손맛이 담긴 “두부”를 한 모금 베어 물면서 다짐했다.

정유년 새해에는 어떤 어려운 역경이 닥쳐도 헤쳐 나가는 멋진 “의지의 한국인이 되겠다”고.

<2017년 1월 26일, “계룡산상신농촌체험휴양마을센터” 식당 앞에서 어머니들이 “두부”를 만들고 있는 모습>

두부

이영광

두부는 희고 무르고
모가 나 있다.
두부가 되기 위해서도
칼날을 배로 가르고 나와야 한다.

아무것도 깰 줄 모르는
두부로 살기 위해서도
열두 모서리,
여덟 뿔이 필요하다.

이기기 위해,
깨지지 않기 위해 사납게 모 나는 두부도 있고
이기지 않으려고,
눈물을 보이지 않으려고 모질게
모 나는 두부도 있다.

두부같이 무른 나도
두부처럼 날카롭게 각 잡고
턱밑까지 넥타이를 졸라매고
어제 그놈을 또 만나러 간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