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공주에 살던 사람은 어떤 사람들이었으며 또 그들은 어떤 것을 즐겼고 사는 모습은 어떠했을까. 이런 것을 알려 주는 옛 자료는 지금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한 기록에 의하면, 공주 사람들은 “남자는 쟁(箏:열두줄로 된 현악기)과 적(笛:일곱 구멍이 있는 관악기)을 좋아하고 여자는 노래 부르기와 춤추기를 좋아한다.”(男好箏笛女好歌舞:『公山誌』風俗條)라고 하여 그 편린 정도를 알게 해 주고 있으나, 이는 외국 기록을 그대로 전재한 것으로서 당시의 보편적인 한국인 전체를 평한 것일 가능성이 많으며, 공주 사람만을 액면 그대로 나타낸 말로 보기에는 어려울 것 같다.

또한 공주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나, “차령 이남의 사람들은 배역(背逆)의 형세가 있으니 기용하지 말라”는 고려 태조의 유훈(遺訓) 이후 형성된 공주 사람에 대한 평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것 역시 당시의 정치적 사정과 목적에서 나온 것인 만큼 공주 사람의 기질이나 인물됨을 나타내는 말로는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공주는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살던 사람의 기질이나 그 사람됨을 정확히, 그리고 명백하게 서술한 자료는 없는 편이다.

이러한 사정은 사실 어느 지역이고 마찬가지이다. 같은 지역에서 살아간 사람들이라 해서 모두가 한 모습은 아니기 때문이다.

흔히 사람들은 자기가 태어난 지역을 강조하여 “나는 어디 사람이다”라 말한다. 그러나 사람은 자기가 태어난 곳에서만 사는 게 아니다.

특히 여성은 결혼과 함께 고향을 떠나는 경우가 많으며, 남자도 직장이나 또 다른 이유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공주에서 태어나 이곳에서 살다가 죽어 공주 땅에 묻힌 사람은 두말할 필요 없이 알짜배기 공주 사람이다.

하지만 공주에서 태어나지는 않았으나 이곳에 와 살다가 죽어 묻힌 사람, 이곳에서 태어나 다른 곳에서 살다가 시신만 공주 땅에 묻힌 사람, 출생지는 이곳이 아니나 인생의 상당 부분을 공주에서 살다가 떠난 사람, 잠시 거쳐 갔지만 공주 땅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사람도 공주 사람으로서 적잖은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하면 출생지라는 면과 함께 공주와 연관된 삶들도 모두 공주의 삶이라는 생각이다.

그렇게 보았을 때 공주에는 참으로 많은 인물들이 있었다. 위로는 왕으로부터 집권 실세 정치 집단의 구성원들, 중앙에서 파견된 고위 관리들, 스승을 찾아 공부하기 위해 왔던 선비들, 유배되어 왔던 정치인들 등 지배층 및 정치 관계의 인물들이 있고, 체제와 정치권력에 반역했던 인물도 있으며, 충성심과 애국심으로 일관했던 충절의 인물도 많이 있고, 문화와 예술계에 불멸의 업적을 남긴 인물도 적잖다. 그런가 하면 효행으로 이름 높은 인물도 있고, 엄청난 재물을 모은 부자도 있었으며, 종교적 신념을 지키다가 목숨을 잃은 분도 있다.

어디 그뿐인가. 사대부, 양반, 중인, 아전 무리, 의원, 역관, 장사꾼, 공장이, 농사꾼, 노비, 백정, 광대…….

게다가 이름 없이 살던 무수한 백성들, 또 백제 함락 이후 와 있었던 당나라 사람을 비롯하여 일본인, 선교사를 위시로 한 서양인들 등 이 땅을 거쳐 갔거나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은 그 계층이나 수에 있어서 헤아리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로 다양했다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