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무엇이든지 해보려는 에너지로 꽉 찬 상태로 세상에 태어난다. 갓난아이가 젖을 빨고, 울고, 웃고 자꾸만 뭔가를 만져보는 행동은 이런 생태적인 에너지에서 비롯된다. 이 에너지는 아이가 점점자라면서 다른 영역으로 옮아간다.

새벽 한 두시가 넘도록 밖으로 쏴 다니는 사춘기 청소년들도 마찬가지로 에너지가 넘쳐나기 때문이다.

이렇게 놀이와 장난에 에너지를 쓰는 아이가 있는가하면, 친구들이 때지어 밤거리를 돌아다니며 에너지를 쓰는 동안 밤을 꼬박 세워가며 책장을 붙들고 씨름을 하는 아이도 있다. 모든 부모들은 내 자녀가 후자의  모습이기를 바란다.
 
우리 사회의 높은 교육열과 함께 교육문제는 언제나 학부모들의 가장 중대한 관심사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교육의 문제점은 여기저기 산재해있다. 주인이 바뀌면 음식점 메뉴가 바뀌듯 교육부장관이 바뀔 때마다 교육정책이 바뀌고, 흔들리는 현실 속에 우리가 서 있다.

지금 현재 우리 학생들은 힘든 학습 진도에  지친 나머지 늘 가까이 지내는 친구의 일상적인 삶에 귀 기울이고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를 나눌 여유가 없다. 이는 교육정책을 입안하는 자나 교직자는 물론 학부모들도 심각하게 반추해볼 문제이다.

`파울로 프레이리'는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문제에 대한 답을 주는데 있지 않고 주어진 현실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하는데 있다'고 했다.

주어진 정답 하나만을 암묵적으로 강요해온 우리교육 현실을 돌아보며 이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하나의 정답을 구하기보다는 물음을 제기하는 교육, 그래서 다양할 수밖에 없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절실하다.
 
세상이 바뀌었다. 시대가 바뀌면 사회가요구하는 인재상도 당연히 달라질 수밖에 없다. 공부 선수, 모범생은 산업화 시대의 성공 모델이다. 정보화 국제화 시대에 깊숙이 진입한 지금. 획일적인 스펙위주의 인재평가가 뿌리 채 흔들리고 있다.

아이들은 날로 똑똑해지는데 학교폭력, 교실붕괴, 집단 따돌림 등의 문제는 더 심각하다. 창의력과 상상력을 중시한다면서도 모든 교육체제나 제도는 여전히 대학 입시위주로 돌아가고 있고 암암리에 이를 지원하고 촉진하는 교육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기존의 교육시스템 속에서 나올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은 시험통과를 위한 것일 뿐, 시험에 방해가 되는 학습활동은 용인되지 않거나, 시도하려다가 학교나 학부모의 거센 반발에 부딪치게 된다.
 
 교육은 더 이상 정답을 찾는 선수를 양성해서는 안 된다. 사람은 누구나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지고 태어났다.

이것은 자녀를 교육해야하는 부모나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고 그들의 지적 수준에 맞추려고 애쓰는 일은 유익은 적고 해는 많다.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나 욕심을 사랑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내 자녀의 가슴높이를 맞추는 교육이 필요하다.

부모는 모두가 좋은 부모이고 싶고, 올바른 교육을 실천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 방법을 모르고 또 방법을 익히기도 전에 바뀌는 교육정책 때문에 시행착오를 겪고 아이와 부모 모두 혼란스러워 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언제나 청량제 같은 느낌을 받는 사람을 좋아한다. 판단과 행동, 생각과 말에 거침이 없지만, 모두가 말하고 싶은 것, 듣고 싶은 것을 소신껏 말하는 명쾌함과 분명함이 있는 그런 사람 말이다.

불합리한 교육현실과, 불의에 대한 정의의 솟구침이 있는 사람을 교육해야 한다. 분노해야 할 것에 분노하는 것은 살아있음과 깨어있음의 징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교육이 바로서는 그날까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끝없이 도전하고 항변하고, 제도와 관념, 그리고 의식의 벽을 두드릴 줄 아는 사람을 키우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티칭(가르치기)이 아닌 코칭(끄집어내기)기법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함양과 깨어있는 역사인식이 가미된 주인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