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혁신(innovation)에 대해 떠들어 댄다. 혁신ㆍ혁신ㆍ혁신! 그런데 혁신이 도대체 무엇인가?

나는 혁신을 주장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되묻고 싶다. 뜬구름 잡는 소리가 아닌 현실 적용 가능한 의미의 혁신의 정의는 무엇인가?

나는 혁신을 주장하기 전에 가장 먼저 `죽음’을 이야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 상태를 죽이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혁신을 주창한 교사나 학교경영자들은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모르는 난감한 이야기를 두루뭉술한 문장과 어휘로 설명했다.

그러다 보니 혁신의 구체적인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보통 혁신을 언급하면 `질문을 많이 하라’, `의문점을 제기하라’, `창조적인 생각을 하라’, `도전적이 되어라’등의 이야기를 해왔다.
이런 이야기는 학교가 소규모일 때는 실현 가능하다. 하지만 소규모를 넘어서 교육부가 되면서부터 교육 문화를 규정하는 `벽`의 두께는 점점 두꺼워진다.

구성원은 물론이고, 교육부 자체도 벽을 넘어선 그 어떤 생각도 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두가 이야기하는 `혁신`에 뒤처지면 안 되니 대부분의 학교들은 혁신을 시도한다. 컨설턴트에게 의뢰를 하기도 하고, 인재 개발 프로그램 차원에서 트레이닝도 한다.

예를 들면 스위스의 유명한 국제 제약회사가 있었다. 이 회사는 `혁신 트레이닝`으로 유명한 미국 기업을 초청해 임원들 교육을 맡겼다.

혁신 트레이닝을 시작한 미국 기업은 곧 단 한마디도 제대로 먹히지 않을 것임을 직감했다. 제약회사의 임원들이 모두 50세 이상에 꼬장꼬장한 표정을 한 중장년층이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혁신`이 무엇인지 알 필요성도 없었고, 알고 싶어 하지도 않았다. 다들 앉아서 각자의 블랙베리를 보며 고개를 숙이고 있었을 뿐이다.

혁신 강습과정을 마치 꼭 들어야 하기 때문에 앉아 있는 대학 학부의 교양과목마냥 앉아서 시간을 때우려는 임원들로 가득 차 있었다.
우리 교육계에도 "앞뒤가 꽉 막힌 중견교사들 이상의 사람들이 항상 문제다. 그들은 혁신이 무엇인지 알지도 못하고 알려고 노력하지도 않는다.

‘지금 이대로 현상유지만 하면 되는 자리에 있기 때문에` 변화를 갈망하지도 않는다. 실제로 이런 사람들에게 혁신에 대해 질문하면 뻔 한 대답뿐이다.

`창조적인 생각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좋은 것이다` 등의 모범답안만 이야기한다.

문제는 `창조적인 생각이 도대체 무엇을 가리키는 것이며, 어떤 질문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의 눈빛도 반짝일 수 있게 하는 방법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자기 자신에게 해당하는 불만 토로`다.

무엇이 가장 큰 불만인지, 어떻게 하면 해소될 수 있는지, 경쟁학교에서는 어떤 혜택이 더 주어지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하면 곧 봇물 터지듯 말은 쏟아진다.

변화는 필요 없다던 게으른 중견교사들에게 조차도 불만을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은 신선하다. 그렇다면 대답은 간단해진다. 모두가 간직하고 있는 그 불만들이 채택되어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올 수 있다면 사람들의 참여도는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그런 측면에서 젊고 열정으로 가득 찬 교사들에게 새롭게 변화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학교 죽이기`란 엄청나게 매력적인 활동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열정이 가득 한 사람들이 쏟아놓는 불만, 즉 `학교 죽이기`는 비전을 잃은 학교가 새롭게 재탄생하는 `윤회 기적`의 시작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상에서 태어난 사람은 이 세상에서 죽고, 이 세상에서 죽은 자는 저 세상에 태어나며, 저 세상에 태어난 자는 저 세상에서 죽고, 저 세상에서 죽은 자는 다시 딴 세상에 태어나는 것."
윤회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동일한 사람이 계속해서 죽었다가 살아나느냐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영속적인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여 무아윤회를 주장하고 있다.

사람이 윤회에서 새롭게 태어날 때 그 모습은 항상 변한다. 육체에 있어서 연속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 하지만 마음만은 흩어 지지 않고 연속한다고 한다. 정신과 육체의 양 측면에서, 연속하되 항상 변화한다는 이야기다.

그러므로 현생의 존재와 내생의 존재는 같지도 않고 그렇다고 전혀 다르지도 않는 윤회의 산물이다. 윤회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첫 단추는 `죽음`이다. 죽지 않고 다시 태어날 수 없음은 진리다.

윤회를 믿는 사람이건 그렇지 않은 사람이건 그 존재를 깨닫기 위해서는 죽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학교를 어떻게 죽여야 하는가? 이 질문에 자유로운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 지금 한국의 학교는 이처럼 기존의 시스템을 해체해야만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 상황에 대하여 그 누구도 반기를 든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 물론 정도차이는 있을지 모르겠다. 기득권 비 기득권의 싸움이 아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공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영원히 사는 학교’ 만들기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 죽이기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다.

즉 ‘현재 학교에 불만이 무엇인가?’로 시작하여 경영학에서 말하는 SWOT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의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요소들을 규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략 짜기를 한다.

중견교사 주도로 위. 아래로 퍼지는 혁신을 유도하여 반발도 적고 효과도 큰 변화를 이끌며 자연스럽게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그래야 학교가 살아나는 것이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