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주시 일부 선출직들이 건설청장을 만나 제2금강교 건설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으로 답답하다. 금강에는 지금 신공주대교, 공주대교, 금강교, 백제대교, 고마나루대교 등 다섯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그런데 왜 다리가 더 필요한가? 공주로 오는 사람들이 많아서 불편을 느껴서라면 좋다. 그런데 그런가? 직장만 공주에 두고, 살기는 외지에 사는 사람들을 위해서 다리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도대체 누구를 위해 다리를 놓아 달라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前정운찬 총리가 취임 후 이준원 시장에게 전화를 걸어 공주에서 가장 원하는 사업이 무엇인가를 물었을 때 이준원 시장이 “제2금강교를 설치해 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알아보니 금강교는 지방도로 되어 있어 국비를 줄 수 없어 수정안에 포함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수정안이 무산, 제2금강교 건설을 위한 예산지원 계획도 물거품이 됐다.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이라는 사람이 국비로 지원될 수 있는 사업과 지원할 수 없는 사업의 구분도 제대로 하지 못한 탓에 공주는 천재일우의 기회인 고향 출신 총리 덕도 보지 못한 꼴이 됐다. 국비지원이 가능한 다른 사업을 요구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뼈에 사무친다.

공주시 선출직들의 제2금강교 건설 요구는 다리를 잘못 짚은 느낌이다. 오는 7월 1일 출범하는 세종시는 공주시의 엄청난 피해를 담보로 건설된다.

공주시 3개면 21리 76.61㎢ 가 편입된다. 공주시 전체 동(洞) 지역을 합친 면적과 비슷하다. 공시지가만 따져도 1조 8,000억이라는 어마어마한 규모다. 실거래 가격으로 따지면 그 규모가 배 이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세종시로 편입, 잃게 되는 인구만 해도 5,600여명이나 된다. 정안면 전체 정도의 인구가 한꺼번에 세종시로 편입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연간 약 100억 정도의 교부금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세종시 편입지역에는 남양분유, 32사단, 농협공제연수원, 산림박물관, 장기면사무소, 공주영상대학 등 공주의 핵심기업, 핵심기관들이 몰려 있다.

당초 행정도시건설법상 공주시의 세종시 편입지역은 제천리, 당암리 등이었으며, 편입지역에는 이렇다 할 기관, 기업이 포함돼 있지 않았다.

그런데 정치권에서 연기군의 잔여지역을 세종시 포함시키면서 공주시의 주변지역도 끼워 넣은 채 법을 통과시키는 탓에 공주시로 남아 있어야 할 남양분유, 32사, 장기면사무소, 농협공제연수원, 산림박물관, 공주영상대학 등의 핵심 기업, 기관이 포함된 것이다.

웅진코웨이도 매각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에서 건실한 지역기업인 남양분유의 세종시 편입은 공주시 세수에 커다란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공주영상대학도 내심 세종시 편입을 환영하며 교명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공주는 대학이 3개에서 2개로 줄어든다.

교육도시 공주의 위상도 한풀 꺾이게 됐다. 동공주 I.C도 서세종 I.C로 변경된다. ‘탈(脫) 공주’ 러시가 시작된 것이다.

이러한 공주시의 팔, 다리를 잘라내는 내용이 포함된 법이 제2금강교 건설을 요구한 선출직들의 임기 중인 2010년 12월 27일 통과됐다.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제2금강교 건설을 요구한 공주시 선출직들에게 부탁하고 싶다. “직장만 공주에 둔 외지인들을 위한 ‘다리(橋)’보다는 세종시 출범으로 인해 잘린 공주의 다리(脚)를 되찾아 오라”는….

그리고 다리(橋) 하나 받고, 평생을 공주가 외발로 살아야 하는 아픔을 겪도록 하는 결정을 결코 해서는 안된다"는 …. (관련기사 있음)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