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림사탑, 석가탑, 미륵사탑 등에서 보여 지는 ‘긴 수평의 부드러운 끝 올림 ’ - '백제선'에는 두 가지 내용이 보인다.

하나는 백제문화를 잉태하고 성장시킨 평야지형에서 오는 평온성이고, 다른 하나는 열린 공간 바다의 수평선에서 오는 진출적 느낌의 또 다른 수평성(해양성)이다.

이렇게 백제문화는 평온하고 시원한 백제선을 보여 주면서 동시에 평화롭고 온화한 모습을 나타내는데 이는 널리 알려진 와당무늬의 동글동글한 모습이다.

그러나 지금 공주에서 백제선과 와당무늬의 온화함을 발견할 수 있는지? 누구의 짓이지 모르지만 시내 곳곳에는 돌로 성곽을 재현해 놓은 듯 한 모습들이 있다.

아마도 공주로 여행 와서 시내를 돌아본 사람들이면 “어? 공주가 병영 도시였나?” 라고 착각할 정도이다.

관광객들이 공주에서 찾고 싶어 하는 ‘백제의 미소’는 어디에 있을까? 시내 곳곳에- 무령왕릉길, 시청, 봉황초등학교, 부설초등학교, 공주교대, 공주고 등- 진위를 분간하기 어렵게 만들어 놓은 이미테이션(내용적 흉악) - 성곽을 보며 그분들이 백제의 온화하고 순수한 '미소’를 발견할 수 있을까?

‘화살에 맞기 전에, 날카로운 창끝에 찔리기 전에 어서 떠나라’는 시각적 위협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써바이벌 게임장도 아니고, 호박넝쿨 올라간 동글동글하고 나지막한 시골 담장도 아니고….

이런 일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홍익대학교의 용역보고서가 만들어지고, 이를 근거로 공주의 지형을 화장실 공사하듯 리모델링하고 있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