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의 70%가 여름 한 철에 집중돼있다. 따라서 해마다 여름에 상습적으로 홍수 피해를 입고 있다. 연평균 사망·실종 등 인명피해가 120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돼 있다.

피해규모도 2조원이며 복구비는 3조원 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홍수 피해는 원천적으로 하천 바닥에 골재가 너무 많이 쌓여 발생하는 것으로, 관계 전문가들은 파악하고 있다. 그래서 홍수 피해를 막고 강수 유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모든 하천의 준설·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통해 담수 량이 증대되는 효과와 골재채취로 인한 경제적 이득까지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실제로 한강과 낙동강 하구에 퇴적된 골재는 상습적으로 범람 요인이 되고 있다. 집중호우와 기습적 폭우로 하상에 골재가 너무 많이 퇴적된 소하천과 자연하천도 농지와 산림을 훼손하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국가하천을 관리하는 건설교통부와 지방하천을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치수(治水)계획은 언제나 복구위주에 치우쳐 있다. 무너진 제방을 보강하고 유실된 수로를 보수하는 식의 피해복구사업에만 의존하고 있다.

그것도 땜질 처방에다 연례행사로, 아까운 예산만 축내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일반 강이나 하천의 경우 골재퇴적층이 넓고 두꺼운 것은 상류로부터 소량의 골재가 쓸려와 쌓이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하폭이 좁고 경사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소하천이나 자연하천은 일시적 집중호우에도 자갈과 돌 더미에 매몰되기 일쑤이다.

그마저 복구의 손길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산간지대에 있는 전국의 소하천과 자연하천 상당수는 이미 하상(河床)이 인근 농경지와 같은 높이로 방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마다 범람으로 인한 유실 등 농경지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또 이 같은 홍수피해를 막기 위해 주민들이 소하천이나 자연하천의 물길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는 바람에 더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전국의 소하천 중 지방자치단체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상당수 하천이 인근 농민이나 지주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수로나 하폭이 변경된 것들이다.

마침 울주군이 이 같은 현황을 인식해 자연 상태로의 하천복원사업을 벌인다니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울주군은 관내 지방하천과 소하천 등 160개 하천을 대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군은 우선 하천의 자연도 조사와 보전 및 복원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또 하천특성에 맞는 자연형 하천 정비공법과 표준모델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밖에 하천부지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등 연차적으로 하천정비 및 복원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다른 지방자치단체보다 산림면적이 넓은 울주군은 관리하천과 소하천·자연하천이 산재해 있다.  그러나 이중 상당수 하천이 본래의 모습을 잃고 있거나 아예 하천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물론 이 같은 현상은 일부 주민들이 경작이나 개발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하천형상을 변경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꼭 주민들만 탓 할 일이 아니다. 평소 하천관리와 정비에 소홀한 울주군도 그 책임이 크지 않을 수 없다. 하천형질이 불법으로 변경된 현장을 장기간 방치한 것도 그렇고 자연환경을 무시한 채 복구 위주로만 하천공사를 해온 것도 그렇다.

하천이 자연정화 기능을 잃은 것은 주민보다는 오히려 행정기관의 반 환경·반 자연적 치수대책 때문임을 깨달아야 한다. 뒤늦게나마 울주군이 하천의 옛 모습 복원사업에 나선다니 그 과정과 결과를 지켜 볼 일이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