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과 부패에 대한 울산시민들의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지역사회의 모든 분야를 시민들이 정확히 꿰뚫고 있다는 얘기다. 울산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가 최근 일반시민 500명과 협약실천에 동참한 관련기관 284명 등 총 784명을 대상으로 ‘2007년 울산부패수준 인식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시사하는 바크다. ‘부패하지 않고 깨끗하다’는 의미의 청렴도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첫 번째로 꼽았다. 전체 조사대상 시민의 20.4%가 시민사회단체의 손을 들어줬다.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시민의 권리증진에 앞장서왔고 부정이나 부패와 연결될 소지가 적었다는 뜻이다. 만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기여도 조사였다면 결과가 달라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울산 시민사회단체의 역할을 폄훼할 뜻은 아니다. 더 분발해야한다는 의미다.

뜻밖에 공직자가 그 다음을 이었다. 15.3%의 응답자가 공직사회의 청렴도가 그나마 나은 편이라 답했다. 설문상 공직사회가 시청.구청 등 자치단체를 뜻하는 것이었다면 그 정도의 평가는 알맞은 편이다.

최근 모 기초단체장의 수뢰(단순히 금전거래였다는 주장도 있지만)사건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공직자들이 직무에 충실하고 뇌물유혹에 냉담하다는 반증이다. 투명사회를 위한 협약 실천의 목적도 사실은 공직사회의 청렴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 아닌가.

세 번째는 노동계로 나타났다.청렴이나 부패와는 거리가 멀 것 같은 노동계가 시민사회단체나 공직사회보다 ‘첨렴인식도’가 떨어진 것은 잦고 과도한 노동운동 때문으로 해석된다. 게다가 모사업장 노조의 취업과 납품비리 파문이 전체노동계의 부정적 이미지로 확산 됐을 듯 싶다.

청렴.비청렴을 떠나서 노동도시인 울산의 상당수 시민들은 노동운동 그 자체에 많은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노동계전체가 되짚어볼 대목이다.

경제와 교육계가 각각 11.4%로 ‘덜 청렴한’ 것으로 나타난 것도 그럴듯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그 범위가 애매하기 짝이 없는 ‘경제계’는 빼고, 교육계만 보자.  그동안 교육감이라는 수장은 구치소와 법원 드나들기를 밥 먹듯 하지 않았는가. 

한 때 교육위원들 끼리는 또 어땠는가. ‘셋과 넷’으로 편 가름해서 걸핏하면 삿대질에 난투극으로 치부를 들어내 보였으니 시민들이 어찌 고운시선으로 보겠는가. 게다가 사흘이 멀다 하고 터지는 교육비리에 실망감은 또 얼마나 컸겠는가.

그럼에도 이만한 청렴도는 교단에서 묵묵히 일하는 일선교사들의 사명감 때문임을 울산교육계 전체가 알아야 할 듯싶다. 겨우 5.3%의 청렴도에 그친 정치계는 그 의미 부여 조차 부질없을 것 같다. 중앙정치건 지방정치건 정치에 대한 시민들의 환멸이 이번 조사에서 그대로 반영됐기 때문이다. 정치와 불신과 무관심은 그 연장선에 있다는 사실을 아마 정치인 스스로만 모르고 있을 터이다. 

투명사회협의회가 지역사회 각 분야의 청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51.8%가 ‘부패수준’을 높지도, 낮지도 않은 보통수준이라 답했다.

또 39.5%가 부패원인을 ‘사회전반의 부조리 풍토’때문으로 꼽았다. 부조리 풍토가 개선되지도 않았고, 부패수준도 제자리걸음이라는 인식이다. 공직사회를 비롯한 노동.경제.교육.정치 분야도 시민과 시민사회만큼 더욱 투명하고 보다 청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