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행의풍수..악한 사람은 명당에 들지 못한다

품행이 악한 사람은 죽어서도 명당에 들지 못한다.

명당(明堂) 찾지 말고 활인적덕(活人積德)하면 사후(死後)에 자연(自然) 명당(明堂) 득지(得地) 하리라.

덕(德)을 쌓아야 명당(明堂)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은 풍수(風水) 설화(說話)에 무수히 나오는 이야기다.

또 하늘이 감춰둔 천장비지(天藏秘地) 명당(明堂)을 지관(地官)이 발견(發見)하면 그 주인(主人)을 찾아 주기 위해서 많은 실험(實驗)을 해본다.

과연 명당을 쓸 수 있는 자격(資格)이 있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실험(實驗)한 후(後)에 덕(德)이 있는 사람이라고 판단(判斷)될 때 그 명당(明堂)을 소개(紹介) 해준다.

그러나 아무리 자손(子孫)이 덕(德)이 있다하더라도 죽은 사람이 덕을 쌓지 않고 악행(惡行)을 하였다면 하늘이 지관(地官)으로 하여금 (失手) 실수하게 하여 응징 (膺懲) 한다는 설화(說話)가 있다.

청주(淸州) 고을에 좌수(座首)가 살고 있었는데, 백성(百姓)에게 재물 (財物)을 약탈(掠奪)하여 재산이 많았다.

하루는 좌수의 아들이 생각해 보니 재산만 많았지 벼슬이 없으니 아무런 소용(所用)이 없었다.

마침 좌수가 죽어 지관(地官)을 구하는데 함경도 땅에 유명(有名)한 지관(地官)이 있다는 소리를 들었다.

아들은 사람을 시켜 많은 재물(財物)을 실어 풍수사(風水師)에게 보내고 꼭 와주기를 간곡(懇曲)히 청(請)했다.

풍수사(風水師)는 몇 백리(百里) 먼 길까지 사람을 보낸 정성(精誠)이 갸륵하여 기꺼이 따라 나서기로 했다.

길이 하도 멀어 중간(中間) 중간 주막(酒幕)에서 잠을 자고 며칠씩 걸려 거의 청주(淸州) 근처까지 왔는데, 당나귀를 타고 가던 풍수사(風水師)는 몸이 몹시 고단하여 잠시 나귀에서 내려 눈을 감고 낮잠을 자는데 꿈에 웬 초립(草笠)동이가 나타나더니 갑자기 풍수사(風水師)의 눈을 지팡이로 찌르는 것이었다.

깜짝 놀란 풍수사(風水師)가 눈을 떠보니 초립 동이는 간데없고, 저쪽에 정승(政丞)이 셋이나 나오고 판서(判書)가 여덟이나 나올 삼상팔판지지(三相八判之地)가 눈에 띄는 것이었다.

풍수사(風水師)는 명당(明堂)을 발견한 기쁨에 피곤(疲困)한 것도 잊고 다시 당나귀를 타고 좌수(座首)의 집에 도착하였다.

좌수의 아들은 상중(喪中)에도 불구하고 기가 막히게 좋은 음식(飮食)을 대접(待接)하였는데, 풍수사(風水師)는 좌수 아들의 덕(德)을 실험하기 위해서 일부러 먹고 놀기만 하였다.

그러나 아들은 급히 산을 잡으라는 말도 없이 계속 최고(最高)의 음식과 옷으로 석 달을 한결같이 칙사(勅使) 대접(待接)을 하였다.

석 달째가 되어서야 좌수의 아들은 자기 소원(所願)을 말했다. "실은 재산(財産)은 많이 있으나 벼슬을 하고 싶어서 고관대작(高官大爵)이 나올 만한 명당을 꼭 잡아달라고 모셔왔으니 좋은 자리를 부탁(付託)합니다."

풍수사(風水師)는 이미 삼팔판지지(三相八判之地)를 보고 온 터라 곧 그 자리를 쓰게 하였다.

자리를 잡아주고 이제 함경도 집으로 돌아오는데 똑 같은 자리에서 잠깐 졸음이 와 눈을 감았는데 초립(草笠) 동(童)이가 나타나더니 지관(地官)의 눈을 쓰다듬고 사라졌다.

졸음을 깬 풍수사(風水師)는 참으로 기이(奇異)한 일이라고 생각하며 집에 돌아왔다.

그 후 칠년(七年)이 지나 풍수사(風水師)는 청주(淸州) 지방(地方)을 지나게 되었다.

그는 좌수(座首)네가 궁금(窮禁)하여 근처(近處) 사람에게 물어 보았다. 그런데 좌수 집이 변고(變故)를 당하여 모두 죽고 완전(完全)히 망(亡)해버렸다는 것이었다.

이상히 여기며 자신이 잡아 준 묘 터에 가보니 그 자리는 삼년(三年) 안에 망(亡)할 자리였다.

풍수사(風水師)는 가슴을 치며 통탄(痛歎)을 하는데 그때의 초립 동이가 나타나더니 "좌수(座首)가 생전(生前)에 고을 사람들을 못살게 굴고 재산을 빼앗아 명당(明堂)에 들지 못하도록 내가 당신 눈을 찔렀다"하고는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세상(世上) 제반사(諸般事)는 인과응보(因果應報)다. 적덕(積德)과 적선(積善)을 생활화(生活化) 하자.
충남 공주출생. 前 우성새마을금고7, 8대 이사장. 현 (사)이산전통풍수지리연구회 이사. 대동풍수학회 상임이사. 현 공주대 평생교육원 풍수지리 강사. 작명(作名)가.풍수지리연구가. C.P :016-404-1434 智山 이원행

역경(易經) 문언전(文言傳)에 보면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이라 했다. 선을 행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좋은 업보가 되돌아온다는 뜻이다.

적선을 많이 해 덕업을 쌓게 되면 그 덕업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그 덕업이 이어져 후손들이 복(福)을 누리리라.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