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주 칼럼

이일주 (공주대 교수)

2월 5일 오늘은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 설날이다. 황금돼지해라고 하는 기해(己亥)년 첫 날인 것이다. 설은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로, 새로운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새해 새 달의 첫 날이다.

그래서 설날을 한자 사용시기에는 원단(元旦), 원일(元日), 원조(元朝), 세수(歲首), 연두(年頭), 연시(年始)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어떻게 표기를 하든지 설날은 새해 첫날이라고 하는 것은 분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정월 초하루를 ‘설날’이라고 하여 명절로 삼아온 것은 삼국유사 권1의 ‘달도(??)’와 관련된 기록에 연원(淵源)한다고 하는데, 고려사에는 고려 9대 명절인 원단, 상원(上元; 정월 대보름), 상사(上巳; 후일에 삼짇날), 한식, 단오, 추석, 중구(重九; 중양절), 팔관(八關; 고려시대의 대축제), 동지 중 원단(元旦), 즉 설날이 새해 첫날이 되었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원단,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이라고 하여 다른 명절에 비하여 세시풍속이 더욱 다양하였다.

전통적으로 설날이 되면 세찬(歲饌)이라 하여 명절식(名節食)으로 떡국, 인절미, 전유어(煎油魚), 강정류, 식혜, 수정과 등 음식을 정성껏 만들어 차례상을 차리고, 세주(歲酒)로 맑은 청주를 빚어 차례를 지내고, 새로 장만한 설빔을 입고 어른들께 세배(歲拜)를 하는데, 집안이나 마을 어른들은 젊은이나 어린이들에게 세배 돈을 주거나 세찬을 내고 후히 덕담(德談)을 한다.

이런 점에서 설날은 후손이 조상을 섬기며, 어른이 자손들이나, 마을 구성원들에게 세배 돈과 좋은 덕담을 내려 건강과 부강을 축원하는 길일(吉日)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설날은 그 자체만으로도 새해 초하루 명절(名節)이지만, 선조와 후손을 연결하고, 가족구성원들의 결속은 물론, 마을, 지역사회, 더 나아가서는 민족과 국가 구성원들을 좋은 관계로 결속시키는 매우 뜻깊은 날인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설날을 신일(愼日)이라고도 하여 ‘근신하고 조심하는 날’이라고도 하였다. 우리가 어떤 일을 처음 하거나 생소한 길을 새로 출발할 때면 각별히 근신(謹愼)하지 않던가?

설날도 바로 새해의 첫날에 첫출발을 하는 날이니 스스로 근신하고 조심스레 또 한 해를 출발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면서 설날부터 정월 대보름인 음력 1월 15일까지 윷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승경도놀이, 쥐불놀이, 횃불놀이 등 등 여러 가지 즐거운 놀이를 하였다. 그러면서 풍물(風物)을 치며 가가호호를 돌며 그 집안에서 가장 이루길 바라는 축원을 올리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우리의 고유 명절은 조선시대 말 서기 1896년 1월 1일(음력으로는 1895년 11월 17일, 고종 32년) 태양력(양력)이 수용된 후에도 지속되다가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우리나라 전통문화 말살정책에 의해 ‘설날’을 ‘구정(舊正)’이라 하여 격하하였는데, 이런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는 아직도 설날을 ‘구정’이라고 부르기도 해 아쉽기도 하다.

물론 자유민주주의를 구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이나, 가족 간에도 종교 등 민속이나 명절 의례, 의식(儀式)에 관한 인식이 다르며, 또 그런 신념이나 생각을 서로 존중해야 하지만, 가족이나 집단의 구성원 간에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세배, 덕담, 축원 등 등 설날의 좋은 전통은 잘 유지 계승, 발전시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기해년 설날에, 우리 공주 사람들부터, 반향(班鄕)이라고 하는 충청도부터, 우리나라 모든 국민들이 스스로는 근신하면서 만나는 이웃마다 서로 음식도 나누고, 덕담과 좋은 축원도 해 주면서 올 새 해에도, 또 내년 새 해에도 그렇게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길 바란다면 지나친 욕심일까?

저작권자 © 특급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